NeoMulti

블로그 이미지
by 사힐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26건

  1. 2012.07.26
    개발자의 분류
  2. 2012.07.09
    VFW 캡쳐 클래스

http://ictlab.tistory.com/230

류종택씨의 블로그에  개발자를 분류하는 괜찮은 아이디의 글이 있군요
추상화 레벨과 개발능력 두가지 관점에서 개발자들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다만, GUI 디자이너를 위해서 예외로 [감각] 이라는 요소를 추가했습니다.
디자인은 감각이 중요할 수밖에 없죠.
한번 읽어보세요

개발자의 분류 - 추상화 래밸 편 http://ryujt.textcube.com/51


-----------------------------------------------
위 글을 보면서 잠시 생각해 보기도 했고
그 동안 나름대로 생각해 온 점도 있어서
개발자의 분류를 다음과 같은 요소로 나누어봤습니다.

1. 커뮤니케이션 능력 (COMMUCATION )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 능력과 이해력, 배려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고객이 하는 말을 잘 이해하고 , 말과는 다른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까지도 잘 파악 할 수있어야 합니다.
이런 능력이 높은 사람은 관리자나 시스템 설계, 영업 쪽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으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어떤일을 하던지 큰 도움이됩니다.

2. 연구 능력 ( RESEACH )
연구 능력은 핵심 알고리즘을 만들어 내는 능력입니다. 기존에 없는 새로운 분야를 공부(연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시행착오를 빠르게!! 거치면서 새로운 기능을 최적의 코드로 문제없이 구현해 내어야 합니다.
이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개발 회사에서 핵심 코드, 라이브러리, 콤포넌트, 프레임워크 등을 개발 할 수있습니다.
다만 .. 아무리 뛰어난 사람이라도 소통 능력이 부족하면 기껏 만들어 놓은 것이 다른 개발자가 쓰기에 불편하고
실제로 현장에서 쓰기에는 기능이 맞지 않거나 융통성이 없는 것이 되 버릴 수 도 있기 때문에
다른 개발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최종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이해도 많이 필요합니다.

3. 응용 능력 ( APPLICATION )
개발 회사에서 가장 많이 필요한 사람들은 응용 능력이 뛰어난 개발자들입니다.
회사의 이익을 창출하는 대부분의 코드는 완전히 새로 개발하는 것이 아닌, 기존 소스를 응용해서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이미 만들어진 알고리즘이나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신속하게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제품을 구현하고 유지보수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분야의 능력은 구현 능력 뿐 아니라 각종 문제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처 능력,  문제 분석 기술, 원인 파악 능력등도  중요합니다.

4. 리더십 ( LEADER SHIP )
리더십이라면 다른 사람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인데
현업 개발자와는 크게 상관이 없을 수도 있지만
개발자로서 경력이 쌓이면 관리 분야을 할 것인지 순수 개발엔지니러로 남을지 결정을 해야 할 시기가 올겁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경력이 쌓이면 하기 싫어도 팀장의 역할을 조금씩 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필요한 능력이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개발 능력은 엄청나게 뛰어난데 리더십이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있다면
회사에서는 그 사람의 뛰어난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업무 분야을 조율해야 합니다.
만약, 그런 사람에게 개발외에 팀장이 해야 하는 일과 비슷한 일까지 동시에 시킨다면
이것은  회사로 보나 개인으로 보나 시간 , 능력의 낭비가 될 것입니다.


-------------------------------
상세 업무에 따른 필요한 스킬 레벨

개발팀장 : C=상 , R=하, A=상 , L=상
시스템 설계 : C=상 ,R=하, A=하, L=중
핵심 개발 : C=중, R=최상, A=상, L=하
일반 개발 : C=중, R=하,  A=상, L=하
 
장비 제어 개발자 : C=상 , R=하 , A=상, L=하

일반 개발자들보다는 장비제어쪽 분야 개발자는 담당 엔지니어와의 의사 소통이 훨씬 중요한것 같습니다.
즉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야 요청 사항 분석 및 구현 기능의 범위를 조율하고 ,문제의 원인  분석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자기의 고집만 내세우고 고객의 불편한 점을 이해하려고 하지 못한다면
계속 고객과의 업무진행이 매끄럽지 못하고, 원인 파악에도 시간이 걸리며,  문제 해결 잘 되지 않을것입니다.

물론 위의 모든 능력이 다 뛰어난 사람이 최고의 인재 겠지만..
그런 사람이라면  개발자로 오래 남아있지는 않을겁니다.
개발회사는 개발자들을 주어진  각각의 능력에 맞게 적재적소에 업무 포지션를 할당하고
부족한 능력을 보완 할 수 있도록 물심 양면으로 지원하는 것이 개발자 및 회사를 위해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AND

영상 VFW Capture Class

 
- 일반적인 영상 보드는 TV수신 카드이다. 제작 회사에서는 개발 API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윈도우에서 영상 Capture를 위하여 속도는 느리지만 Video For Windows(VFW)를 이용한다. VFW를 이용하게 되면 다른 TV수신카드 뿐만아니라 VFW를 지원하는 전문 Image Grabber, USB카메라에 이르기까지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을 Capture를 할수 있으므로 소스를 수정하지 않더라도 좋은 호환성을 지니게 된다.

- C++을 위한 Capture Class의 설계
LRESULT FAR PASCAL FrameCallbackProc(HWND hWnd, LPVIDEOHDR lpVHdr);//캡쳐후에 호출되는 콜백함수
LPBYTE m_lpDib; //콜백 함수내에서 이미지 포인터를 넘겨받아 저장하는 포인터
unsigned long m_BufferLength; // 콜백 함수내에서 저장되는 버퍼의 길이를 저장하는 변수

class CVFWCapture
{
public:
CVFWCapture(); // 생성자
void Scale(BOOL onoff); // 스케일 조정 함수
BOOL Connect(HWND hWnd,int left=0,int top=0,int right=320,int bottom=240);
BOOL Disconnect();
void VideoSource(); //Source설정 대화창
void VideoFormat(); //Format설정 대화창
void VideoDisplay(); //Display설정 대화창
HWND m_CaptureWnd;//캡쳐된 윈도우의 핸들
int m_Connect; // 연결되었는경우 TRUE 연결되지 않은경우 FALSE
int m_ImgYsize; //영상의 X크기를 저장
int m_ImgXsize; //영상의 Y크기를 저장
~CVFWCapture(); //소멸자
};

- CVFWCapture의 사용순서

시작시 : Connect함수를 호출한다 이때 화면이 출력될 윈도우의 핸들과 윈도의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는 인자를 넘겨준다. 호출후에 성공이면 TRUE, 실패면 FALSE를 넘겨주며 m_Connect에 그 값이 저장된다.
연결후 : VideoSource(),VideoFormat(),VideoDisplay,Scale() 함수를 호출하여 영상의 입력 속성 등을 바꿀 수 있다.
종료시 : Disconnect()함수를 호출 함으로서 연결을 닫는다. 물론 소멸자가 호출 될때 자동으로 Disconnect가 호출 된다.

- CallBack함수의 사용
영상에 캡쳐되어 메모리 버퍼에 저장되면 CallBack함수가 실행되게 된다. Callback함수는 CVFWCapture클래스 안에 들어 있지 않으며, 모든 영상처리를 가능하면 Callback함수 안에서 처리하는편이 안전하다. 만약 비디오 버퍼의 내용이 일반적인 타이머 안에서 처리하게 되면 처리도중 영상 캡쳐로 인해 내용이 바뀔 수 있으며 캡쳐된 영상을 다른 곳으로 한부 더 복사하는것도 시간낭비, 메모리 낭비가 되기 때문이다.
LRESULT FAR PASCAL FrameCallbackProc(HWND hWnd, LPVIDEOHDR lpVHdr)
{
m_lpDib = lpVHdr->lpData;//프레임 이미지 저장
m_BufferLength = lpVHdr->dwBufferLength;//이미지 버퍼의 크기

//실제 영상처리 작업을 이곳에 넣는다.

return TRUE;
}


//---------------------------- VFWCapture.h
#if _MSC_VER > 1000
#pragma once
#endif // _MSC_VER > 1000
#include
// VFWCapture.h : header file
//

// 전역변수와 함수들
LRESULT FAR PASCAL FrameCallbackProc(HWND hWnd, LPVIDEOHDR lpVHdr);
extern LPBYTE m_lpDib;
extern LONG m_nFrameTime;
extern unsigned long m_BufferLength;

/////////////////////////////////////////////////////////////////////////////
// CVFWCapture window

class CVFWCapture
{
// Construction
public:
CVFWCapture();

// Attributes
public:

// Operations
public:

// Implementation
public:
void Scale(BOOL onoff);
BOOL Connect(HWND hWnd,int left=0,int top=0,int right=320,int bottom=240);
BOOL Disconnect();
void VideoSource();
void VideoFormat();
void VideoDisplay();
HWND m_CaptureWnd;
int m_Connect;
int m_ImgYsize;
int m_ImgXsize;
~CVFWCapture();

};




//---------------------------- VFWCapture.cpp: implementation file

#include "stdafx.h"
#include "BGPRJ.h"
#include "VFWCapture.h"
#include
#ifdef _DEBUG
#define new DEBUG_NEW
#undef THIS_FILE
static char THIS_FILE[] = __FILE__;
#endif


LPBYTE m_lpDib;
LONG m_nFrameTime;
unsigned long m_BufferLength;


/////////////////////////////////////////////////////////////////////////////
// CVFWCapture

CVFWCapture::CVFWCapture()
{
    m_Connect = false;
}

CVFWCapture::~CVFWCapture()
{
if(m_Connect == TRUE){
Disconnect();
}
}


/////////////////////////////////////////////////////////////////////////////
// CVFWCapture message handlers

void CVFWCapture::VideoDisplay()
{
    capDlgVideoDisplay(m_CaptureWnd);
    CAPSTATUS s;
    capGetStatus(m_CaptureWnd,&s,sizeof(s));
    m_ImgXsize=s.uiImageWidth;
    m_ImgYsize=s.uiImageHeight;
}

void CVFWCapture::VideoFormat()
{
    capDlgVideoFormat(m_CaptureWnd);
    CAPSTATUS s;
    capGetStatus(m_CaptureWnd,&s,sizeof(s));
    m_ImgXsize=s.uiImageWidth;
    m_ImgYsize=s.uiImageHeight;
}

void CVFWCapture::VideoSource()
{
    capDlgVideoSource(m_CaptureWnd);
    CAPSTATUS s;
    capGetStatus(m_CaptureWnd,&s,sizeof(s));
    m_ImgXsize=s.uiImageWidth;
    m_ImgYsize=s.uiImageHeight;
}

BOOL CVFWCapture::Disconnect()
{
if(m_Connect==FALSE) return FALSE;
if (capDriverDisconnect(m_CaptureWnd) == TRUE) return TRUE;
m_Connect=FALSE;
return FALSE;
}

BOOL CVFWCapture::Connect(HWND hWnd,int left,int top,int right,int bottom)
{
int nID = 0;
if(m_Connect==TRUE) return FALSE;
DWORD dwStyle = WS_CHILD | WS_VISIBLE;
m_CaptureWnd = capCreateCaptureWindow("Capture Window", dwStyle, left, top, right, bottom, hWnd, nID);
BOOL bConnect = FALSE;
bConnect = capDriverConnect(m_CaptureWnd, 0);
if(bConnect == FALSE){
        ::DestroyWindow(m_CaptureWnd);
AfxMessageBox("Capture Driver Connect Fail..");
return FALSE;
}

    CAPSTATUS s;
    capGetStatus(m_CaptureWnd,&s,sizeof(s));
    m_ImgXsize=s.uiImageWidth;
    m_ImgYsize=s.uiImageHeight;

capSetCallbackOnFrame(m_CaptureWnd, (LPVOID)FrameCallbackProc);
capPreview(m_CaptureWnd, TRUE);
capPreviewRate(m_CaptureWnd, 33);
// capOverlay(m_CaptureWnd, TRUE);
capGrabFrameNoStop(m_CaptureWnd);
   capPreviewScale(m_CaptureWnd, TRUE);

    m_Connect=true;
    return TRUE;
}

void CVFWCapture::Scale(BOOL onoff)
{
   capPreviewScale(m_CaptureWnd, onoff);
}

 

출처 : http://sigi1404.tistory.com/entry/VFW-%EC%BA%A1%EC%B3%90-%ED%81%B4%EB%9E%98%EC%8A%A4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26)
Imagine cup 2007 (2)
What (23)
영화 (1)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